티스토리 뷰
- Static 방식과 DSO방식 2가지로 구분됨
- Static은 특정 모듈 추가시 매번 재설치 해야 하나, DSO방식은 재설치 필요 없이 모듈만 추가시키면 됨
- Apache 1.3.X 부터 사용가능한 방식
- DSO방식으로 설치하려면 아파치 configure 시에 "--enable-so" 옵션 사용하여 설치
- DSO방식인지 확인 법
# httpd -l 명령으로 "mod_so.c"가 출력되면 DSO방식임
ex)
======================
# ./httpd -l
Compiled in modules:
core.c
worker.c
http_core.c
mod_so.c
======================
DSO방식에서 Module추가 방법
1. module upload
- 위치 : $APACHE/modules/
ex)
# ls -al
…(중략)…
-rwxrwxr-x 1 paint paint 130302 6월 30 17:02 mod_rewrite.so
…(중략)…
2. httpd.conf 수정
# vi httpd.conf
…(중략)…
LoadModule rewrite_module modules/mod_rewrite.so
…(중략)…
'WEB,WAS > Web Server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Apache] LogLevel (0) | 2010.07.17 |
---|---|
[Apache] Welcome-file 설정 (0) | 2010.07.17 |
[Apache] 디렉토리 보안설정 (0) | 2010.07.17 |
[Apache] apachectl 명령어 (0) | 2010.07.16 |
[Apache] httpd.conf 한글 메뉴얼 (1) | 2010.07.12 |
[Linux] Apache설치 (0) | 2010.06.30 |
[WebtoB] MaxQCount 와 MaxQUrl (0) | 2010.03.04 |
[WebtoB/JEUS] SvrChkTime, read-timeout (0) | 2010.03.04 |
댓글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TAG
- Nexus
- Config History
- nginx
- Docker
- 젠킨스
- Password manager
- groovy
- 엔시블
- 파이프라인
- 데브옵스
- ssl
- iTerm2
- vagrant
- 엔서블
- openssl
- Thread Dump
- Ansible
- rundeck
- 플레이북
- Linux
- rsync
- Playbook
- 리눅스
- 쓰레드덤프
- DevOps
- PostgreSQL
- URL Encoding
- Shell Script
- JVM
- Jenkins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글 보관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