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저는 Nginx 또는 Apache 셋팅 시 반드시 정적파일 분리 설정을 하는데요.
Grafana의 경우 어떻게 하는지 알아봅시다.
구성
Client --- Nginx --- Grafana
Grafana 앞단에 Nginx를 두어서 정적파일들(html, css, js, jpg, png 등)은 Nginx에서 처리하고
나머지 동적파일들은 Grafana로 넘기는 설정을 합니다.
Grafana
Grafana 의 경우 정적 요청들은 URI는 /public 패턴으로 옵니다.
* 이것을 변경하려면 환경파일에서 아래 부분 변경하면 됩니다. 근데 뭐 굳이 변경할 필욘 없겠죠?
# the path relative working path
static_root_path = public
Nginx
아래와 같이 설정합니다.
upstream grafana-server {
server 127.0.0.1:3000;
keepalive 100;
}
server {
location /public/plugins {
include proxy.conf;
proxy_pass http://grafana-server;
}
location /public {
access_log logs/grafana/access_static.log main;
root /mcpaint/program/grafana;
}
location / {
include proxy.conf;
proxy_pass http://grafana-server;
}
}
'DevOps > Monitor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How to get label variables on Prometheus (Prometheus 에서 Variables 설정) (0) | 2019.01.18 |
---|---|
Jolokia 연동 방법 (JMX, Mbean) (0) | 2017.12.11 |
댓글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TAG
- openssl
- 젠킨스
- 데브옵스
- Config History
- Thread Dump
- Linux
- Jenkins
- 리눅스
- 엔시블
- Password manager
- URL Encoding
- rsync
- 파이프라인
- Docker
- Shell Script
- JVM
- ssl
- 쓰레드덤프
- 엔서블
- 플레이북
- DevOps
- Playbook
- Ansible
- nginx
- PostgreSQL
- groovy
- iTerm2
- rundeck
- vagrant
- Nexus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글 보관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