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- GET : URI로 지정한 정보를 꺼낸다. 파일의 경우 그 파일의 알맹이를 반송한다. CGI 프로그램의 경우는 그 프로그램의 출력 데이터를 그대로 반송한다.
- POST :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데이터를 송신한다. 폼에 입력한 데이터를 송신하는 등에 사용한다.
- HEAD : GET와 거의 같아. 단, HTTP의 메시지 헤더를 반송할 뿐이고, 데이터의 알맹이는 반송하지 않는다. 파일의 최종 갱신 일시 등의 속성 정보를 살펴볼 때 사용한다.
- OPTIONS : 통신 옵션을 통지하거나 살펴볼 때 사용한다.
- PUT : URI로 지정한 서버에 있는 파일을 대치한다. URI로 지정한 파일이 없는 경우는 파일을 새로 작성한다.
- DELETE : URI로 지정한 서버에 있는 파일을 삭제한다.
- TRACE : 서버측에서 받은 리퀘스트 라인과 헤더를 그대로 클라이언트로 반송한다. 프록시 서버 등을 쓰는 환경에서 리퀘스트가 바뀌어 써지는 모양을 살펴볼 때 사용한다.
- PATCH : PUT와 마찬가지로 서버에 있는 정보를 대치하는데, 대치하는 차이만큼 서버에 송신한다.
- LINK : 다른 정보와 관련시킨다.
- UNLINK : LINK로 설정한 관련을 삭제한다.
'Develop > Languag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PHP 날짜 계산 관련 함수 (0) | 2010.12.08 |
---|---|
[Java Script] 브라우저 내장 객체 (0) | 2010.05.13 |
[JavaScript] window.open() (0) | 2010.05.03 |
자바스크립트(Java Script)는 자바(Java)가 아니다 (0) | 2010.04.30 |
[web.xml] Sample (0) | 2010.02.02 |
[web.xml] PackageSeparator 구분자 설정 (0) | 2010.02.02 |
System.gc() (0) | 2010.02.02 |
HTTP 상태코드 (0) | 2010.01.31 |
댓글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TAG
- DevOps
- 엔시블
- 파이프라인
- 젠킨스
- Shell Script
- rsync
- URL Encoding
- 엔서블
- Ansible
- Linux
- Config History
- ssl
- 리눅스
- groovy
- rundeck
- 플레이북
- JVM
- 데브옵스
- Nexus
- PostgreSQL
- vagrant
- openssl
- iTerm2
- nginx
- Password manager
- Jenkins
- Docker
- 쓰레드덤프
- Thread Dump
- Playboo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글 보관함